화성학에 대해서

chord(화음)이 협화음과 불협화음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liam u 2021. 11. 23. 06:00
728x90
반응형

chord(화음)이 협화음과 불협화음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화음(chord)이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화음은 바로 음정들이 모여서 만드는 소리이지요.

 

기본 3화음은 3도 음정 2개를 연이어 쌓아올려 만들게 됩니다.

 

화음은 협화음 (휴식의 느낌을 줄 수 있는, 쉽게 말하자면 듣기 좋은 소리입니다.)

그리고 불협화음(다른 화음으로의 해결이 필요하다고 말은 하지만, 필수적이진 않습니다.)

 

화음은 음을 겹치는 방법에 따라서 자유롭게 만들 수 있으나 가장 조직적으로 많이 써온 것은 위의 그림과 같은 3도 화음입니다.

 

화음은 음의 수직적인 배열로 단음보다 더 풍부한 음의 느낌을 가집니다. 음의 수직적인 배열이라는 말은 옆으로 쌓이는 것이 아닌 근음(밑음)을 기준으로 해서 위로 쌓아나간다는 뜻입니다.

 

근음이나 밑음은 기본음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나머지 음은 음정의 성질에 따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근음과는 무관하게 나머지 윗 음(멜로디)가 장조인지 또는 단조인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요즘은 따로 코드를 알고 있지 않아도 요즘은 시대가 좋아져서 곡만 넣어주면 코드를 비슷하게 집어주는 프로그램이나 사이트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도 화성학의 기본은 알고 음악에 접근하는 것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반응형

'화성학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정받는 사람이 되자  (0) 2022.02.09
사랑하는 내 아들 파코에게  (0) 2021.12.01
자신만을 사랑한 왕  (0) 2021.11.16
상처의 회복  (0) 2021.11.11
양 떼가 강을 건너는 법  (0) 2021.11.10